본문 바로가기

Finance

상류층 되는 방법

반응형

상류층 되는 방법


 서민이나 중산층이 상류층이 되지 못하는 이유(자본주의 사회에서 성공의 척도는 돈이다. 내가 말하는 상류층 역시 돈을 기준으로 하되 판검사나 의사, 정치인 같은 권력이나 명예를 가지고 있는 부류는 알아서 적용해라.)



평범한 대한민국 시민 이야기를 하나 해보겠다. 제목은 김손실씨의 인생이다


김손실씨의 인생 - 평범한 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간신히 인서울 대학에 들어간다. 


대학생활 하면서 죽기 살기로 스펙 쌓아서 모두가 동경하는 회사까진 아니더라도 건실하고 괜찮은 회사에 입사했다.


군대 갔다 오고 대학 졸업하니 벌써 20 중반이 넘어간다. 직장이 생기자 으레 모두가 사는 준중형 한 대 뽑는다.


당연히 돈은 거의 모으지 못한다. 기름값, 보험료, 유지비 빼니까 생활하기도 빠듯하다. 


성실함 빼곤 시체인 전형적인 한국형 노력파 손실씨는 힘든 여건이지만 조금씩 저축을 한다. 


물론 꼼꼼히 알아보고 년 단리이자 4%에 무려 세금공제혜택까지 있는 적금에 넣고서 좋은 상품에 가입하고 좋아서 해해~거린다. 


노후나 주택자금은 당연히 꿈도 못꾼다. 


그러다 좋은 여자를 만나 결혼을 하기로 했다. 결혼 할 때 혼수다 예단이다 해서 돈이 장난아니게 든다... 


지금까지 모은 돈으로는 택도 없다. 전세자금까지 해서 은행에 1억 빚을 낸다. 이 때 부터 진정한 마이너스 7% 인생이 시작된다.


 성실함을 인정받아 회사에서 승진하고 월급이 올랐다. 


오른 월급으로 애기들 기저귀랑 분유도 사고 학원도 보내고 빚도 차근차근 갚아나간다.


 버는 돈이 많아도 들어가는 돈이 그만큼 많아져서 저축은 아직도 힘들다. 


빚을 다 갚을 때가 되니 큰 아이가 둘이라 집이 좁게 느껴진다. 또 빚을 끼고 주택확장을 한다.


27평형 아파트. 꿈에 그리던 내 집이다! 주위 동료들과 비교해 봐도 꽤 빨리 내집마련에 성공했다. 


물론 노후대책은 아직까지 까마득한 이야기다. 자식 농사가 내 노후대책이다.


주택확장 때문에 생긴 빚 간신히 다 갚고 나니 애들이 대학을 간다. 


이놈들이 열심히 공부해서 등록금 싼 국립대인 서울대를 갈 것이지 인서울 사립대를 간단다. 


까짓것 빚 다 갚았는데 또 빌리지 뭐.. 하며 애들 학비 대출해준다.


세월이 지나 50살이 넘어가고 은퇴를 했는데 애들 학비 다 갚으니 노후대책은 없다. 잘 키운 애들이 노후대책이다. 


그런데 애들도 우리가 밟았던 똑같은 마이너스 인생길을 그대로 답보하고 있다. 


내가 부모님 잘 못 챙긴 것처럼 내 새끼들도 지들 먹고살기 바쁘다. 


평생 성실하고 열심히 일했는데 남아있는건 집 한 채 딸랑 있다. 열심히 일해서 돈도 꽤 많이 벌었는데 이게 다 은행 좋은 일만 한거다. 


평생 은행 노예로 산것이다. 누군가는 사회시스템의 노예라고도 한다. 그리고 노예의 최후는 누구도 신경 쓰지 않는다. 


자식한테 버림받는 노인들 이야기는 뉴스에서 심심치 않게 들려온다. 손실씨는 저게 자신의 이야기가 될까봐 두렵다. 


자식들한테 전화해서 놀러오라고 하면 바빠서 다음에 간다고만 한다. 


우리는 성실하고 근검절약하는 착한 시민이 되라고, 


그러면 성공도 알아서 따라 올 것이라고 교육받는데 뒤통수도 이런 뒤통수가 없다. 뭔가가 잘못됐다.


서민들 두 명이 결혼해서 뼈 빠지게 열심히 일하고 절약하면 중산층까진 올라갈 수 있다. 


중산층 두 명이 만나서 뼈 빠지게 일하고 절약하면 상류층이 될까?


 글쎄...





그럼 어떻게 해야 서민이나 중산층이 상류층에 편입하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3가지다. 


물론 로또나 경마 같은 도박은 제외한다.



1. 라이프사이클의 변화

2. 금융지식

3. 소득 증가

반응형

'Fi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서진 에스크베리타스 상무 등극  (0) 2013.05.07
상류층 되는 방법2  (0) 2013.05.04
기술적 분석1  (0) 2013.05.01
기술적분석 트레이딩 요령2  (0) 2013.05.01
시황과 투자전략 그리고 재귀성이론  (0) 2012.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