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시황과 투자전략 그리고 재귀성이론

반응형

시황: 대세상승이면 대형주가 시장을 주도하고, 조정장세면 중,소형 개별주가 선순환하면서 시장을 주도합니다. 지금은 대세 상승보다는 조정장세입니다.


투자전략: 코스피 5일선이 20일선의 지지를 받아 상승패턴을 보이고 있는데, 추가상승을 위한 에너지를 응집하는 모습입니다. 삼성전자의 상승패턴이 상당히 좋기 때문에 갤럭시S3, 갤럭시 Note 관련주와 중,일관계 악화로 카지노, 여행, 화장품 그리고 중국에 전진기지를 두고 있는 몇몇 자동차 부품주가 승승장구하고 있는데, 시장의 리더인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세가 집중되는 종목에 주목하십시오. 현시점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실적과 재료에 의한 차별화 장세가 펼쳐지면서 폭발적인 수익을 동반한 초대형 종목들이 나오고 있다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종목은 위메이드, 조이맥스, 매일유업, 한스바이오메드, 한국사이버결제, GKL, 뷰웍스, SBS콘텐츠허브, 한국가스공사, 부산가스, 에스엠, 메디톡스, 삼영무역, NHN, 서부 T&D, 미창석유, 한국카본, 바텍, 다우기술, 동국실업, 에이블씨엔씨,  스카이라이프, 코스맥스 등 수많은 종목이 상승을 위한 대파동 초입에 진입하거나 진행중입니다.



조지소로스의 재귀성이론 요즘장에서 한번 되짚어 봐야할 이론이죠.


재귀성 이론 :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정상가격에서 벗어 나더라도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의해 자동적으로 정상가격을 유지하게 된다는 균형이론 입니다.


재귀성 이론은 이러한 조정이 즉각적으로 이뤄지지 못하고 파탄지경에 이르고 나서야( EX: 1998년 IMF. 2008년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현재 진행형인 유럽발 금융위기 등) 안정기조로 돌아온다는 이론인데, 재귀성 이론에 따르면 현실시장에서 균형이란 극히 예외적인 것으로 간주합니다.


오히려 시장 불균형과 변화가 정상적인 상황이며 불균형한 시장에서는 폭등과 폭락이 필연적인 것인데, 변화가 누적되는 추세를 일찌감치 알아채 승부수를 던지면 이익을 극대화 시킬수 있다는 것입니다. 재귀성 이론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시장참여자가 서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이론에 따르면 경제실체에 무언가 불균형이 생기면 그것이 시정되지 않고 일단 하나의 경향으로 자라잡게 되며 날이 갈수록 확대 된다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시장참여자와 시장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므로 시장의 내재가치와 시장가격은 항상 불균형을 이룰 수 밖에 없고, 이러한 불균형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실제와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큰폭의 등,락 즉 대반전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대세 전환점을 미리 포착해 과감히 승부수를 던지는 것이 소로스의 핵심 투자전략입니다.


이번주도 눈치를 살피며 숨고르기 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적과 차트, 그리고 수급이 살아 있는 종목으로 매수세를 압축해 가는 즉 대반전이 진행중인 종목으로 차분하게 대응하시면 좋은결과 얻을수 있다고 사료됩니다. 


지금이 여러분들에게 안전하고 큰 수익을 주는 주가 순환싸이클 입니다. 지금이 기회입니다. 밀림의 왕이라는 사자도 먹이감을 찾고, 사냥할 때 바람의 방향, 유리한 위치 그리고 자신을 은폐하기 위해 자세를 바짝 낮추며, 먹이감이 자기에게 유리한, 즉 충분한 사정거리에 들어 오면 사냥감을 공격해서 먹고 살아 갑니다. 지금은 사자와 같이 적극적으로 시장을 공략해야 합니다. 즉 사정거리안에 수많은 먹이감이 널려 있습니다.


역발상의 지혜가 필요한 시장입니다.  언론을 통해 아시겟지만, 증권사 구조조정에, 활동 계좌수가 2.000만개 이하고, 거래량과 거래대금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시장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일때가 최고의 기회입니다. 시간이 지나 상황이 좋아지고 모든 사람이 열광하면서 시장에 뛰어들면 그때가 9부 능선입니다. 다시 말하면 박수칠때는 떠나야지 시장에 진입하면 안됩니다.


월가속담에 강세장은 비관속에 태어나 회의속에 자라고 낙관속에 성숙하여 행복감속에 사라진다 했습니다. 현재 시장상황을 잘 반영하고 있는데, 지금은 비관과 회의가 지배하는 시장입니다.



반응형